728x90
반응형

2024/06/15 3

 이사부(異斯夫)는 신라 장군

목차 1, 개요2, 신라장군 이사부3, 울릉도와 독도4, 문제 이야기5, 결론   이사부(異斯夫)는 신라 장군 이사부 장군은신라지증왕 이래 법흥왕, 진흥왕 때까지 활약한 신라의 대표적인 장군이며 중신이다 505년(지증왕 6) 신라에서는 군현제가 실시되어 최초로 실직주(悉直州)가 설치되었다. 이때 이사부는 그곳의 군주(軍主)가 되었다. 그리고 512년에는 우산국( 지금의 울릉도)을 점령하였다. 원래 우산국은 지리적인 이유로 신라에 귀복 하지 않고 있었으며, 주민들이 사나워서 힘으로는 정복할 수가 없었다. 이에 이사부는 계교로써 항복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여  나무로 사자(獅子)를 많이 만들어 전선에 가득 싣고 그 나라 해안을 내왕하면서 항복하지 않으면 맹수를 풀어 밟아 죽이겠다고 위협하니, 그들은 마침내 항..

보물 곳간 2024.06.15

자음 ㅎ의 사자성어

목차 1, 개요2, 사자성어3, 학수고대, 호접지몽, 혹세무민4, 문제이야기5, 결론 유익한 사자성어 [ㅎ] 학수고대(鶴首苦待) : 몹시 기다림한단지몽(邯鄲之夢) : 사람의 일생에 '부귀란 헛되고 덧없다는 뜻 한단에서 여몽이 낮잠을 자면서 꾼 꿈에서 유래한단지보(邯鄲之步) : 자기 것을 잃음을 비유.한우충동(汗牛充棟) : 책을 실은 수레를 끄는 소가 흘리는 땀이 많다는 뜻으로, 책이 많다는 뜻해로동혈(偕老同穴) : 부부의 금실이 좋아서 함께 늙고 함께 묻힘허심탄회(虛心坦懷) : 마음속에 아무런 사념 없이 품은 생각을 터놓고 말함허장성세(虛張聲勢) : 허세를 부림현모양처(賢母良妻) : 어진 어머니이면서 또한 착한 아내형설지공(鎣雪之功) : 애써 공부한 보람호가호위(狐假虎威) : 남의 세력을 빌어 위세를 부..

명언과 성어 2024.06.15

자음 ㅍ의 사자성어

목차 1, 개요2, 자음 ㅍ3, 사자성어 이야기4, 문제 이야기5, 결론  유익한 사자성어 [ㅍ] 파사현정(破邪顯正) : 사한 것을 버리고 정도를 드러냄파죽지세(破竹之勢) : 세력이 강하여 막을 수 없는 모양팽두이숙(烹頭耳熟) : 머리를 삶으면 귀까지 삶아진다. 중요한 것만 해결하면 나머지는 따라서 해결됨.폐포파립(蔽袍破笠) : 해진 옷과 부서진 갓, 빈궁하여 매우 초라한 모습포식난의(飽食暖衣) :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음포호빙하(暴虎馮河) : 무모한 행동표리부동(表裏不同) : 겉과 속이 다름풍성학려(風聲鶴戾)겁을 먹은 사람이 하찮은 일이나 작은 소리에도 몹시 놀람풍수지탄(風樹之嘆) : 부모가 돌아가신 뒤에 효도 못한 것을 후회함풍전등화(風前燈火) : 바람 앞의 등불처럼 운명이 위태로움필부필부(匹夫匹婦..

명언과 성어 2024.06.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