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와 시사

관심과 위로, 그리고 사랑이 필요해

듬직한 남자 2025. 4. 29. 09:10
728x90
반응형

목차

 

1, 개요

2, 행복한가

3, Detachment

4, 행복한 이야기

5, 마무리

728x90

 

관심과 위로, 그리고 사랑이 필요해

 

사람에겐 사랑이 필요합니다. 사람과 사람의 관계가 되었든, 유형과 무형의 관계가 되었든, 사람은 사랑에 기댄 채 삶을 살아갑니다. 그렇다면 사랑이라는 말을 바꿔 부를 수 있는 표현은 없을까요? 만약 누군가 한 가지를 꼽아 보라고 한다면, 그건 바로 ‘관심'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사랑은 무언가를 향한 관심의 발로입니다. 일말의 관심조차 없던 대상에게 사랑이라는 감정이 생길 리 만무하죠. 우리는 알게 모르게 타인으로부터 관심을 받으며 자라 왔고, 지금도 누군가의 관심 속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때로는 무관심을 절실히 필요로 할 때도 있지만, 우리의 본성 깊은 곳에서는 늘 관심을 갈구합니다. 우리 모두는 사랑과 관심을 먹고 살아가는 존재니까요.

 

<디태치먼트 (Detachment)>라는 영화가 있습니다. 제목 그대로 무관심을 주제로 한 영화였는데, 임시 교사 헨리가 문제로 가득한 학교에 부임하면서부터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새로 부임한 학교에서 관심 결핍으로 어긋나 있는 아이들과 선생들을 대면하는 헨리를 보며 나는 내심 헨리가 그들의 결핍을 해소할 영웅이 되어 줄 것으로 기대했지만, 영화는 시종일관 등장인물들이 좌절하는 모습만을 보여 줍니다. 하지만 이 영화는 몇 개의 장면을 통해 꽤 전달력 있는 메시지를 던져 주었는데, 그중 한 장면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매일 아침 학교 철망에 매달리는 교사가 있습니다. 교사는 집에서도, 학교에서도 줄곧 투명인간 취급을 받아 왔고, 나중에는 스스로를 투명인간으로 치부하기에 이릅니다. 투명인간 교사는 사람들이 자신의 모습을 한 번쯤 쳐다봐 주길 간절히 소망합니다. 그래서 매일같이 철망에 매달리는 일을 감행했지만 누구 도 그에게 말을 걸어오지 않았죠. 그러나 사실은 그의 모습을 모두가 바라보고 있었고, 영화는 그러한 시선의 증거를 흑백 사진으로 연출했습니다. 교내에는 매일같이 흑백사진을 촬영하는 여학생이 한 명 있는데, 소외받은 사람들의 우울함과 절망을 표현하는 학생의 사진첩에 철망에 매달린 투명인간 교사의 모습이 담겨 있었던 것입니다.

 

 

투명인간 교사에게 먼저 말을 걸어온 사람은 주인공 헨리였습니다. 출근길에 그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목격하게 된 헨리는 투명인간 교사에게 다가가 이렇게 물었습니다.

“왜 여기서 이러고 있는 겁니까?" 그러자 그는 자신이 정말 보이냐고 거듭 되물으며 확인했고, 안 보일 리가 없다는 헨리의 당연한 답변에 연신 고맙다는 인사를 건네고는 날아갈 듯이 교실로 달려갑니다.

 

이 장면처럼, 우리가 타인에게 바라는 건 어떤 거대한 관심이 아니라 지극히 사소하고도 작은 관심일지 모릅니다. 사실은 나 역시 투명인간 교사처럼 불특정 다수에게 신호를 보낸 날이 있었습니다. 알량한 자존심에 직접적으로 드러내지는 못했지만, 내심 누군가 그 암묵적 신호를 알아봐 주고 위로해 주기를 간절히 원했죠.

 

 

“잘하고 있다고. 모든 것이 잘될 거라고. 힘을 내라고.”

어쩌면 뻔하디 뻔한 위로일 것입니다. 그러나 누군가는 그 뻔한 위로에 힘을 얻고, 굽혔던 허리와 무릎을 펼 용기를 얻습니다. 위로의 말은 뻔할지라도, 그 한마디가 불러오는 효과는 결코 뻔하지 않습니다. 위로는 곧 관심이며, 관심은 곧 사랑일 테니까요.

 

***

 

명언,

내가 성공을 했다면

오직 천사와 같은 어머니 덕이다.

- A. 링컨 -

반응형

 

^(^,

열심히 사는 당신을 응원합니다.

긍정의 삶으로 파이팅!

728x90
반응형

'연예와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날이 그날인 게 더 없이 좋은 거야  (0) 2025.04.28
실수해도 괜찮아  (1) 2025.04.26
남의 비판을 잘 받아들이는 법  (0) 2025.04.23
대학 등록금  (0) 2025.04.20
누군가의 버팀목  (0)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