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당신, 엄마, 분노, 조절 장애
3, 화를 내다
4, 이야기
5, 결론
당신은 왜 엄마에게 화를 낼까?
분노 조절 장애(간헐적 폭발성 장애)가 있는 사람을 보면 대부분 혀를 차며 말합니다.
"왜 저래?"
알고 지내던 사람이 술에 만취해 대뜸 화를 내거나 다른 사람에게 시비 거는 모습을 보면 나 역시 혀를 차게 되죠. 그렇다면 이렇게 누군가 분노하는 모습에 혀를 차는 이들은 살면서 단한 번도 화를 내본 적이 없을까요? 아마 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왜 화가 나는가?" 하는 물음에 여러 가지 이유가 존재하겠지만, 모든 이유를 아우르는 단 하나의 동기가 있습니다. 우리는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것, 즉 통제되지 않는 무엇에 화를 냅니다.
가령 뉴스를 통해 접한 어떤 파렴치한 범죄자를 보고 분노한다면, 그 범죄자를 때려죽이고 싶지만 내가 때려죽일 수도 없는 노릇이기에 화가 나는 것입니다. 범죄자는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사람이고, 애초에 범죄의 발생부터가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사건이기에 화가 납니다. 또한 미쳐가는 세상을 보거나 사회의 부조리에 화를 내는 이유도 일개 시민인 내가 사회를 옳은 방향으로 이끌고 통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어린 자녀를 가진 부모가 자기 자식에게 화를 내는 것도, 아무리 좋은 말로 달래고 어르려 해도 자녀가 말을 듣지 않고 통제되지 않기 때문 이죠. 자기 자신에게 실망하고 화가 나는 것도 자신의 감정이, 의지가, 처한 상황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자꾸 흘러가니까, 통제되지 않는 까닭입니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초빙해 인생의 질문을 탐구하는 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게스트로 출연한 뇌 과학자 정재승 교수는 ‘분노'를 주제로 출연자들에게 살면서 가장 화를 많이 낸 상 대가 누구인지 물었습니다. 출연자는 대부분 ’어머니‘를 꼽았으며, 그 밖에도 아버지와 형, 누나, 오빠, 언니, 동생, 배우자 등 가족이나 연인, 친구처럼 가까운 상대에게 화를 내는 경우가 많다고 대답했습니다. 우리는 왜 가장 사랑하거나 가깝다고 여기는 대상에게 화를 낼까요? 이 질문에 정재승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 했습니다.
"우리의 뇌는 자신을 인지하는 영역과 타인을 인지하는 영역이 분리되어 있어요. 그러나 가깝다고 여기는 관계일수록 나와 가깝게 저장되죠. 희한한 건 우리나라 사람들은 나를 인지하는 곳에서 엄마도 같이 인지합니다. 나와 엄마를 동일시하는 거예요. 나라고 인지할 정도로 가깝기 때문에 내 마음대로 통제하고 싶어 해요. 그래서 자꾸만 엄마에게 화를 내죠. 나와 한 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너무 사랑해서 통제가 안 되면 불같이 화가 나는 거예요."
누군가가 내 생각대로 했으면 하는 마음에서 화는 시작됩니다. 뇌 과학적 논리대로라면 분노 조절 장애가 있는 사람은 뇌에서 나를 인지하는 영역에 타인을 불법 다운로드하는 셈입니다. 아무 상관도 없는 타인을 나 자신이라 착각하고, 내 마음대로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발생하는 오류인 것이죠. 평소 에는 화도 잘 못내는 사람이 술 취해서 화를 내고 누군가에게 시비를 거는 행위도 취해서 나를 인지하는 영역과 타인을 인지하는 영역의 질서가 교란되며 발생합니다.
그림을 그릴수록 알게 되는 것이 있습니다. 그림을 그릴 때 쓰는 모든 선과 모든 붓 터치를 내가 전부 통제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통제에서 벗어난 부분은 지우고 수정하고를 반복하죠. 설령 숙련자가 되어 어느 정도 선과 터치의 통제가 가능해진다 해도, 자신의 첫 의도와 완벽히 맞아떨어지는 결과물이 매번 나오지는 않습니다. 또한 내가 만족스럽게 그린 그림이 항상 누군가를 만족시킬 수도 없죠. 그림을 그리면 그릴수록, 그림은 세세한 과정부터 결과까지 모든 걸 다 통제할 수 없음을 깨닫게 됩니다.
나를 표현하기 위해선 내 생각과 감정 따위를 돌아보고 관찰해야 합니다. 내 생각과 감정의 뿌리를 바라보는 과정에서 한 층 더 나 자신을 이해할 순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생각과 감정을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거나 통제하기는 어렵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노화가 진행되어 육체와 건강을 완벽히 통제할 수 없듯이 말이죠. 인간이란 애초에 자기 자신을 완벽히 통제 할 수 없음을 깨닫게 됩니다.
물론, 통제되지 않는다고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노력조차 하지 말자는 말은 아닙니다. 중요한 건 나 자신도, 내가 그리는 그림도, 내가 살아가는 삶도, 내가 대하는 타인도, 내가 사는 세 상도 모든 것을 완벽하게 통제할 수 없으니, 통제되지 않을 수 있음 그 자체를 받아들이는 ‘너그러움'이 필요하다는 말입니다.
뇌 과학적으로 사랑하거나 친밀하게 느끼는 타인을 나 자신을 인지하는 영역에 가깝게 저장해 그러한 타인과 나를 동일시 한다는데, 이 메커니즘을 쉽게 바꿀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나 자신을 인지하는 영역에 모든 걸 내가 통제할 수는 없다는 너그러운 태도를 함께 저장해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야 나와 가깝게 저장된, 나라고 생각하는 친밀한 대상들을 똑같이 너그러운 마음으로 대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면 나, 너, 우리가 모두 서로에게 너그러워지고, 화가 줄어든 세상 속에서 살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열심히 사는 당신을 응원합니다.
긍정의 힘으로 파이팅!
'연예와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 엄마의 혜자로운 나눔이야기 (2) | 2024.10.24 |
---|---|
예술 / 보이지 않는 것들의 관문 (2) | 2024.10.24 |
서풍 콘서트 / 정서주 (0) | 2024.10.20 |
서울대학교 / 예술, 보이지 않는 것들의 관문 (1) | 2024.10.19 |
이효리에게 ‘진짜 사랑’을 알게 해 준 존재 (12) | 2024.10.17 |